[상속]-상속회복청구권-상속개시 10년 후 상속권을 침해당한 경우 상속회복청구권
『상속개시 10년 후 상속권을 침해당한 경우 상속회복청구권』
질문:
① 甲과 乙은 10년 전 사망한 아버지 丙의 공동상속인인데, 최근 乙이 아버지 丙명의로 남아있던 임야를 자기의 단독명의로 상속등기를 하였습니다.
② 그러므로 甲은 자기의 상속권을 침해받았다며 위 乙명의의 상속등기말소청구소송을 제기하려고 하는바,
③ 이와 같이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상속개시의 날로부터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가능한지요?
답변:
2002년 1월 14일부터 시행된 개정민법 제999조에 의하면 "①상속권이 참칭상속권자로 인하여 침해된 때에는 상속권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은 상속회복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. ②제1항의 상속회복청구권은 그 침해를 안 날부터 3년,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을 경과하면 소멸된다."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
그러므로 상속권자는 자기의 상속권이 침해를 받은 경우 그 침해를 안 날부터 3년,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 내에 상속회복의 소를 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. 그런데 위 사안에서 乙이 단독으로 상속등기를 한 행위의 무효를 원인으로 하는 甲의 말소등기청구소송이 위 규정상의 상속회복청구권으로 보아 위 10년의 제척기간을 적용할 수 있느냐가 문제됩니다.
乙이 상속개시일로부터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甲의 상속권을 침해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이 지나지 않았고, 그 상속권 침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이 지나지 않았다면, 甲이 乙을 상대로 甲의 지분에 상응하는 乙의 등기를 말소하라는 청구를 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
출처 : 다정 법률상담소→→→▷▷▷무료상담받기◁◁◁
'상속분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상속]-유류분제도-유류분제도란 어떤것인가요? (0) | 2015.07.22 |
---|---|
[이혼]-재산분할-전남편이 사망을 했는데 전남편의 자녀들에게 재산분할청구를 할 수 있나요 (0) | 2015.07.22 |
[상속]-공동상속인-공동상속인 1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 된 부동산의 회복방법 (0) | 2015.07.22 |
[상속]-공동상속인-공동상속인 중 1인의 행방불명시 소유권이전등기 방법 (0) | 2015.07.22 |
[상속]-상속포기-상속개시 전 상속포기의 효력? (0) | 2015.07.22 |